국방부, 3차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방부, 3차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

by 파워퍼플블로거3 2023. 12. 4.

서론

 

 

한국은 최근 세 번째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를 제주 해상에서 시험 발사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번 발사는 국방부에 의해 오후 2시에 제주 인근 해상에서 이뤄졌으며, 민간 상용 위성을 실은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의 성공적인 발사를 알리고 있다. 이는 지난해 3월과 12월에 이어 세 번째로 이뤄진 시험발사로, 이번에는 고체 연료를 이용한 1단 추진체가 추가되어 발사되었다.

 

본론

 

 

1,2차 시험발사 때는 위성이 아닌 '더미'가 탑재되었고, 1단 추진체가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시험에서는 고체 연료를 이용한 1단 추진체를 채택하고, 한화시스템에서 만든 소형 위성이 함께 탑재되었다. 이 위성은 100kg급의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하며, 고도 650km 상공의 지구 궤도에서 지구를 관측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러한 고체 발사체의 특성에 대해 구조의 단순성, 용이한 저장과 취급, 저렴한 비용으로의 신속 발사 가능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가벼운 저궤도 관측·정찰위성 발사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추진기관의 지속적인 제작과 보관이 가능하여 안보 수요에 대응한 발사체의 사전준비가 가능하다고도 강조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발사 준비 기간이 짧고 부품의 신뢰도가 높으며, 소규모의 지원장비로 발사 가능하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특히 국방부는 북한의 안보 위협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이번 발사 성공이 한국형 3축체계의 핵심인 우주기반 감시정찰능력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했다. 군 관계자는 이번 시험의 목적은 1단 추진체의 성능 검증에 있으며, 북한의 고체연료 추진체보다 훨씬 높은 추력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결론

 

 

이번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성공은 한국이 안보 상황에 대응하고, 우주 감시 및 정찰 능력을 보다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에는 더 많은 발전을 이루어 탑재 중량을 증대하기 위한 대형화 기술도 개발될 예정이라고 국방부는 밝혔다. 이러한 연구와 발전은 한국의 국방력을 향상시키고, 안보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